
개인적으로 작성 한 노트이기에 업무처리 방식이 타 사무실과 상이 할 수 있습니다. 혹시 잘 못 된 정보가 있다면 알려주세요! 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^^ |
[ 가결산 순서 및 방법(법인) ]
<필수 요청 서류>
① 통장내역(위하고 자동수집 등록 추천)
② 주주명부(주주변동 시)
③ 보험증권(보증보험, 차량보험 등)
④ 지방세 세목별 과세증명서
⑤ 이자수익원천징수영수증
⑥ 수입/수출 관련 서류(외화송금내역서, 수출/수입신고필증, 자금정산서 등)
⑦ 차량 구입 시 매매 계약서, 취득세, 자동차세 납부 영수증
⑧ 대출이 있는 경우, 대출통장 거래내역, 원리금상환 내역서(이자율 표기 된 것으로)
0. 통장업로드 및 잔액 맞추기
① 상세내용→적요, 의뢰인/수취인 기타→내용
② 조건검색으로 같은 내용끼리 일괄변경 및 전송 후 다른 조건을 검색하여 작업하면 이전에 전송해둔 것은 변경되지 않아 편함
1. 급여 회계처리 및 금액 확인
① 급여 회계처리(회계전표처리 or 직접입력)
② 원천징수이행상황신고서 ↔ (일용,근로,사업, 퇴직 등)지급명세서 합계 일치 확인
③ 위 금액에 비과세 포함한 금액이 손익계산서와 일치하는지 확인
(근로소득 비과세 포함금액 조회 : 월별급상여수당지급현황)
2. 예수금 처리(입력 및 상계방법은 아래 링크 참고)
① 4대보험, 소득세/지방소득세 예수금 처리 → 통장 출금 내역에서 상계
② 원천징수 이행상황 신고서의 소득세와 기말 예수금(소득세) 잔액 맞는지 확인
③ 지방소득세특별징수납부서의 지방세와 기말 예수금(지방세) 잔액 맞는지 확인
※ 환급되는 경우 미수금으로 거래처(세무서,지자체) 걸어두고 관리
[급여 회계처리 및 예수금 상계 ]
급여대장 작성 및 회계처리 실무
개인적으로 작성 한 노트이기에 업무처리 방식이 타 사무실과 상이 할 수 있습니다. 혹시 잘 못 된 정보가 있다면 알려주세요! 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^^ 세무일을 하기 시작한 후
peaistall.tistory.com
3. 선급비용, 보험료 등 분개 확인
① 전년도 선급비용 보험료와 상계
1/1 │ (차) 821 보험료 xx │ (대) 선급비용 133 xx
② 올해 보험료 → 보험증권요청 → 선급비용 분개(개인,법인조정 선급비용 명세서 금액과 동일하도록 작성)
12/31 │ (차) 선급비용 133 xx / (차) 821 보험료 -xx (차차분개)
▶ 보험증권 확인
4. 신용카드/현금영수증 등 전표 코드 입력
* 부가세 신고 후 해당기간 전표 매입매출로 보내지 않도록 주의
▶ 부가세대급금 잔액이 안 맞는 경우 대부분 이런 경우임
① 적요 빈 것 채우기
② 접대비 코드 입력(넣어야 접대비조정명세서 불러와짐)
③ 차량 코드 입력(차량 번호별로 관리)
④ 계정별 원장에서 계정별로 잘 못 넣은 것은 없는지 확인
▶잘 모르겠는 부분은 임시계정 만들어서 한번에 관리 ▷ 정리 후 거래처에 확인 요청
5. 기타 확인
① 지급임차료 등 세금계산서가 아닌 것들 추가 반영사항 확인 및 입력
② 기장료, 조정료 등 고정적인 지출금액 빈 것 없는지 확인
③ 통신비 등은 적요에 전화번호 등으로 관리 ▷ 갑자기 금액이 큰 경우 핸드폰 소액결제 있을 수 있음
④ 이자비용 적요란에 이자율 기입(가지급금인정이자, 지급이자손금불산입 계산 시 필요)
6. 감가상각 입력
① [회사등록] → 회계날짜 결산일로 변경
② [고정자산등록] → 기능모음 → 감가상각비재계산
③ [미상각분감가상각계산] → 인쇄 → 일반전표에 결차/결대로 입력(결차/결대로 입력해야 한번에 지우기 편하다)
▶ 결산자료 입력에서 입력해도 되나 가결산 시에는 직접입력이 편해 필자는 주로 직접 입력한다.
④ 합계잔액시산표의 유형자산잔액, 누계액 잔액이 고정자산등록의 미상각분감가상각계산금액과 일치한지 확인
7. 부가세 대급금 & 부가세 예수금
① 납세사실증명원 참고
▶ 가산세가 있으면 금액이 다를 수 있다.
② 중간 예정고지세액(22) 있으면
통장내역에서 상계
(차) 136 선납세금 a │ (대) 101 보통예금 a → 추후 부가세 납부시 선납세금 상계
③ 부가세대급금 - 부가세예수금 상계 → 부가가치세신고서 17번 금액 상계
6/30 │ (차) 255 부가세예수금 xx │ (대) 135 부가세대급금 xx
④ 경감공제세액(신용카드매출전표 발행 등) : 부가가치세신고서(18),(19),(20),(20-1)
6/30 │ (차) 255 부가세예수금 xx │ (대) 930 잡이익 xx
⑤ 음식점의 경우 → 의제매입공제 : 부가가치세신고서(43)
6/30 │ (차) 135 부가세대급금 (43) │ (대) 146 상품 (43) 적요8
⑥ 기말 남은 부가세 예수금 잔액 = 2기확정 부가가치세신고서 납부세액
▶ 통장내역에서 상계
(차) 255 부가세예수금 a+b │ (대) 101 보통예금 b, (대) 136 선납세금 a
⑦ 단수차이 = 960잡손실/930잡이익
가산금 = 960잡손실(세금과공과로 처리 시 손금불산입)
8.선납세금(법인세 중간예납액, 이자소득 원천징수 세액)
▶ 아래 링크 참고
[ 법인세 중간예납, 이자소득원천징수 세액 등 선납세금 회계처리 ]
법인세, 법인지방세 선납세금(중간예납,이자소득원천징수 포함) 회계처리
개인적으로 작성 한 노트이기에 업무처리 방식이 타 사무실과 상이 할 수 있습니다. 혹시 잘 못 된 정보가 있다면 알려주세요! 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^^ 1. 법인세 중간예납 선납세
peaistall.tistory.com
9. 합계잔액시산표 잔액 확인 → 거래처 원장 잔액과 대조
① 미수금, 외상매출금, 미지급비용, 외상매입금, 미수수익, 가지급금 등 잔액 거래처에 확인 및 대조
▶ 추후 대손상각 시 중요
▶ 가지급금이 있는 경우 가지급금 인정이자 체크
② 채권/채무 관리 계정에 미등록 거래처 없는지 확인
10. 손익계산서 전년도와 비교하여 보고
① 전년도와 비교 및 누락, 과다 체크
② 비율 보이도록 인쇄
'월급 노트 > 세무업무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종합소득세 신고 준비:) 결산업무 순서(개인사업자) (0) | 2023.02.14 |
---|---|
법인세, 법인지방세 선납세금(중간예납,이자소득원천징수 포함) 회계처리 (0) | 2022.12.21 |
부가가치세 신고서 작성 및 납부연장(분납) (1) | 2022.11.17 |
비거주자 사업소득(기타소득) (0) | 2022.11.16 |
입사일(4대보험 취득일) 변경 (0) | 2022.11.15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