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월급 노트/세무업무노트

입사일(4대보험 취득일) 변경

by 노트주인장 2022. 11. 15.

 

 

 


개인적으로 작성 한 노트이기에 업무처리 방식이 타 사무실과 상이 할 수 있습니다.

혹시 잘 못 된 정보가 있다면 알려주세요! 함께 성장하는 기회가 되길 바랍니다 ^^


 

  

간혹 입사일(취득일)을 변경해달라는 요청이 들어온다. 특히, 고용보험 취득일을 꼭 바꿔달라고 한다. 왜 바꾸는지 알고는 있지만 차마 여기에 쓸 수는 없다.

 

국민/건강은 EDI에서 가능하지만 고용보험은 팩스로 접수해야하며 정정신고는 국민/건강/고용 각 공단에 다 따로 접수해야 한다.

 

 

1. 국민연금 취득일 변경

1) 국민연금공단 팩스 전송

아래 양식 작성 후 관할 공단에 전송하면 된다. 아래 첨부파일 열어보면 알겠지만 국민연금/건강보험은 양식이 같다. 고용보험도 체크 할 수 있게 되어있는데 왜 양식이 다른지 모르겠다.

 

[별지_제13호서식]_국민연금_사업장가입자_내용변경_신고서.hwp
0.07MB

 

 

2) 국민연금 EDI, 위하고에서 신고

① 국민연금EDI

국민연금 EDI → 사업장선택 → 연금고유 신고 → 국민연금사업장가입자 내용변경(정정)신고서 → 작성 → 신고서발송

② 위하고

위하고 → 사회보험관리 → 국민연금 가입자 내용변경정정신고서 → 작성 → 공단마감 → 공단신고

 

 

2. 건강보험 취득일 변경

1) 건강보험공단 팩스 전송

아래 양식 작성 후 관할 공단에 전송하면 된다. 

 

건강보험_직장가입자_내용변경_신고서.hwp
0.06MB

  

 

2) 건강보험 EDI

건강보험 EDI 사업장선택 전체서식 신고/신청 직장가입자자격내용변경신고서 작성 후 대상자 등록 신고

 

건강보험 EDI 에서 신청하면 신청구분에 국민/건강/고용/산재가 다 있어 건강보험에만 접수하면 연계 될 것 처럼 보이지만 정정은 그렇지 않다.

 

 

정정은 각각의 공단에 다 따로 신고하자!!

 

 

 

3. 고용/산재보험 취득일 변경(팩스)

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고용보험 취득일 수정은 EDI에서 신청이 안 된다. 아래 양식 작성 후 관할 근로복지공단에 팩스로 전송했다. 이틀 뒤 제대로 처리가 되었는지 전화로 확인할 예정이다. 

 

그런데 진짜 왜 고용보험만 양식이 다를까? 국민/건강 양식에 고용보험도 체크 할 수 있게 되어있는데 말이다. 알 수 없다.

 

피보험자_고용정보_내용_정정_신청서(근로자용)_210831.hwp
0.02MB

 

 

고용보험은 착오로 인한 정정일 경우 5~10만원 정도의 과태료가 회사앞으로 나올 수 도 있다고 한다

 

 

 

 

댓글